일반적으로 용량 관리(Capacity Management), 용량 계획(Capacity Planning), 하드웨어 규모산정(H/W Sizing, Capacity Sizing)이라는 용어를 명확히 구분하기는 쉽지 않으나, 이들 용어 간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
규모산정의 절차 및 설명
1단계인 시스템 구축 방향 및 기초 자료 조사 단계에서는 ISP(Information Strategy Planning)나 혹은 시스템 구축 에 대한 기본계획 등과 같은 결과들을 토대로 향후 구축될 전체시스템에 대한 아키텍처 구성 및 정보흐름을 파악하여 필요한 경우 아키텍처의 모델을 수립하고 규모 산정에 필 요한 기초 자료를 수집한다.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수집된 기초 자료를 바탕으로 업무 분석을 수행하며, 각 업무별 예상 부하를 결정하고 이를 합산하여 기준 부하를 산정한다. 3단계에서는 대상시스템에 대한 참조 모델과 보정치를 결정하며, 각 서버별로 CPU, 메 모리, 디스크 등 H/W 구성요소에 대한 규모를 산정한다. 마지막으로 4단계에서는 각 아 키텍처 형태에 따라 규모산정 방식이 달라지므로 아키텍처 참조 모델별 가중치를 적용하 여 최종적인 규모를 확정한다.
규모산정 기법
공공부문에 적합한 규모산정방식은 3가지 방식의 장단점과 사업의 입안 단계에서 도 규모산정이 가능하여야 한다는 특성을 고려할 경우, 참조법이나 시뮬레이션법의 적용 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. 따라서 본 지침에서는 규모산정 방법으로 수식 계산법을 적용하고 있다
규모산정 대상
- CPU : 해당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CPU 규모를 계산한 후, 적정한 성능을 지닌 서버 기종을 선정한다.
- 메모리 : CPU 규모산정에 따른 서버 구성방안에 의거하여, 서버별 시스템 S/W, 응용 프로그램 등의 메모리 사용량을 산정한다.
- 디스크 : CPU 규모산정에 따른 서버 구성방안에 의거하여, 서버별 OS, 시스템 S/W, DB의 데이터, DB의 아카이브(Archive) 및 백업 영역 등의 디스크 사용량을 산정한다.
- 스토리지 : CPU를 기준으로 산정된 서버 규모에 따라 필요한 스토리지의 규모를 산정 한다.
규모산정 성능 기준

H/W 규모산정을 위해서는 시스템의 아키텍처와 작업부하의 특성을 고려한 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.
규모산정 참조 아키텍처
규모산정 아키턱처 가중치 적용
'법령지침 및 정책 가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010] 디지털 권리장전이란 무엇인가? (1) | 2024.08.04 |
---|---|
[008] 디지털전문계약제도란 무엇인가? (1) | 2024.08.04 |
[007]규제샌드박스란 무엇인가? (0) | 2024.08.03 |
[005] 데이터 안심 구역이란 무엇인가? (0) | 2024.08.03 |
[004] Privacy by Design (개인정보보호 중심 설계)란 무엇인가? (3) | 2024.07.30 |